솔라리스 11 기본 설정 - 윈디하나의 솔라나라
|
windy@wl:~$ cat /etc/release 1)
Oracle Solaris 11.4 X86
Copyright (c) 1983, 2018, Oracle and/or it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Assembled 16 August 2018
windy@wl:~$ isainfo -kv
64-bit amd64 kernel modules
..
windy@wl:~$
1) Solaris 11.4 CBE 를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
Oracle Solaris 11.4 X86 Copyright (c) 1983, 2021, Oracle and/or its affiliates. Assembled 03 December 2021
windy@wl:~$ cat /etc/passwd | grep root root:x:0:0:Super-User:/root:/usr/bin/bash windy@wl:~$ cat /etc/user_attr root::::type=role windy::::lock_after_retries=no;profiles=System Administrator;roles=root windy@wl:~$ su Password:root 계정의 패스워드또한
설치시 생성했던 사용자는 sudo(1M) 를 사용해 자유롭게 root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windy@wl:~$ sudo su -
Password:windy 계정의 패스워드
root@wl:~#
쉽게 말해 설치시 생성했던 사용자 계정과
루트 계정은 결과적으로 같은 권한을 가진다는 의미다. 롤 계정과 sudo(1M)에 대해서는 윈디하나의 솔라나라: ACL, SUDO, RBAC을 읽어보자.
/home/*
이었지만, 솔라리스 11.2 부터 /export/home/*
으로 변경되었다. 설치시 생성한 사용자 windy 는 아래와 같이 생성되어있다.
windy@wl:~$ pwd /export/home/windy windy@wl:~$ cat /etc/passwd | grep windy windy:x:100:10:windy:/export/home/windy:/usr/bin/bash windy@wl:~$
사용자를 생성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기존보다 더 간단히 생성할 수 있다. ZFS 작업과 automount 작업은 useradd(1M)에서 알아서 해준다.
root@wl:~# useradd -c "웹관리자" -g staff -m -u 102 webmast root@wl:~# su - webmast webmast@wl:~$ df -h ... rpool/export/home/webmast 147G 31K 140G 1% /export/home/webmast webmast@wl:~$ exit root@wl:~# userdel -r webmast root@wl:~#
Filesystem Size Used Available Capacity Mounted on rpool/ROOT/solaris 31G 2.6G 25G 10% / rpool/ROOT/solaris/var 31G 315M 25G 2% /var /devices 0K 0K 0K 0% /devices /dev 0K 0K 0K 0% /dev ctfs 0K 0K 0K 0% /system/contract proc 0K 0K 0K 0% /proc mnttab 0K 0K 0K 0% /etc/mnttab swap 3.4G 6.5M 3.4G 1% /system/volatile swap 3.4G 4K 3.4G 1% /tmp objfs 0K 0K 0K 0% /system/object sharefs 0K 0K 0K 0% /etc/dfs/sharetab fd 0K 0K 0K 0% /dev/fd /usr/lib/libc/libc_hwcap1.so.1 28G 2.6G 25G 10% /lib/libc.so.1 rpool/VARSHARE 31G 2.7M 25G 1% /var/share rpool/VARSHARE/tmp 31G 31K 25G 1% /var/tmp rpool/VARSHARE/kvol 31G 31K 25G 1% /var/share/kvol rpool/VARSHARE/zones 31G 31K 25G 1% /system/zones rpool/export 31G 32K 25G 1% /export rpool/export/home 31G 32K 25G 1% /export/home rpool/export/home/windy 31G 35K 25G 1% /export/home/windy rpool 31G 4.3M 25G 1% /rpool rpool/VARSHARE/pkg 31G 32K 25G 1% /var/share/pkg rpool/VARSHARE/pkg/repositories 31G 31K 25G 1% /var/share/pkg/repositories rpool/VARSHARE/sstore 31G 1.6M 25G 1% /var/share/sstore/repo
root@wl:~# devprop -n /dev/rdsk/c3d1s0 device-blksize device-pblksize 1)
512
512
1) 해당 디바이스의 장치 블록 크기, 장치 물리적 블록 크기를 보여준다.
- 4Kn 디스크인 경우(4K Native, 디스크 및 시스템에서 고급 포맷을 지원하는 경우) 4096 4096 - 512n 디스크인 경우(512 Native, 디스크 및 시스템에서 고급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512 512 - 512e 디스크(512 Emulation, 디스크는 고급포맷을 지원하나, 시스템에서 고급 포맷을 지원하지 않아 512 블록크기로 에뮬레이션 되어 사용중인 경우) 512 4096512e 인 경우,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UEFI 바이오스 사용하여 4096 으로 맞춰줘야 정전으로 인한 디스크 손실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Managing Disks in Oracle Solaris - Disk Management Features를 읽어보자. 솔라리스 x86 의 경우 부팅 디스크에서 4Kn 을 사용하려면 다음 3가지 조건 1) UEFI 사용 2) ZFS 사용 3) Solaris 11.2 이상 사용 을 만족 해야 한다. 부팅용이 아니라면 솔라리스 11 부터 ZFS 사용시 4Kn 을 지원한다.
root@wl:~# zpool list NAME SIZE ALLOC FREE CAP DEDUP HEALTH ALTROOT rpool 31.5G 6.01G 25.5G 19% 1.00x ONLINE - root@wl:~# zfs list NAME USED AVAIL REFER MOUNTPOINT rpool 6.01G 25.0G 4.32M /rpool rpool/ROOT 2.98G 25.0G 31K none rpool/ROOT/solaris 2.98G 25.0G 2.61G / rpool/ROOT/solaris/var 316M 25.0G 315M /var rpool/VARSHARE 32.2M 25.0G 2.74M /var/share rpool/VARSHARE/kvol 27.7M 25.0G 31K /var/share/kvol rpool/VARSHARE/kvol/dump_summary 1.22M 25.0G 1.02M - rpool/VARSHARE/kvol/ereports 10.2M 25.0G 10.0M - rpool/VARSHARE/kvol/kernel_log 16.2M 25.0G 16.0M - rpool/VARSHARE/pkg 63K 25.0G 32K /var/share/pkg rpool/VARSHARE/pkg/repositories 31K 25.0G 31K /var/share/pkg/repositories rpool/VARSHARE/sstore 1.57M 25.0G 1.57M /var/share/sstore/repo rpool/VARSHARE/tmp 31K 25.0G 31K /var/tmp rpool/VARSHARE/zones 31K 25.0G 31K /system/zones rpool/dump 2.00G 25.0G 2.00G - rpool/export 99.5K 25.0G 32K /export rpool/export/home 67.5K 25.0G 32K /export/home rpool/export/home/windy 35.5K 25.0G 35.5K /export/home/windy rpool/swap 1.00G 25.0G 1.00G - root@wl:~# zpool status pool: rpool state: ONLINE scan: none requested config: NAME STATE READ WRITE CKSUM rpool ONLINE 0 0 0 c1t0d0 ONLINE 0 0 0 errors: No known data errors
# zfs get volsize rpool/swap NAME PROPERTY VALUE SOURCE rpool/swap volsize 1G local # zfs set volsize=4g rpool/swap # zfs get volsize rpool/swap NAME PROPERTY VALUE SOURCE rpool/swap volsize 4G local
이 문서에서는 IP 설정을 위한 간단한 기능만을 소개하고 있으나, 솔라리스는 네트워크 관련해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Oracle Solaris 11.4 Information Library (한국어)의 Administering Oracle Solaris Networks 섹션을 보면 기능에 대해 나와있는데 몇가지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아래 섹션은 Network Administration by Functional Area의 요약이다.
네트워크 관련해 생각할 수 있는 기능은 다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서버에 장치되어있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쉽게 말하면 랜카드)를 보자. dladm show-phys
명령을 사용한다.
root@wl:~# dladm show-phys LINK MEDIA STATE SPEED DUPLEX DEVICE net0 Ethernet up 1000 full e1000g0
위 화면에서 e1000g0
이라는 물리 장치 (Intel PRO/1000 Gigabit 네트워크 어댑터다. e1000g(4d)에서 확인할 수 있다)가 net0
이라는 링크이름
으로 등록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NIC가 추가되거나 삭제되면 자동으로 장치가 구성되며, dladm rename-link
명령을 사용해 링크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링크에 대해 조금더 자세히 보려면 아래와 같은 명령을 줄 수 있다. 지금은 이런게 있다는 정도로 넘어가도 된다.
root@wl:~# dladm show-link LINK CLASS MTU STATE OVER net0 phys 1500 up -- root@wl:~# dladm show-ether LINK PTYPE STATE AUTO SPEED-DUPLEX PAUSE net0 current up yes 1G-f bi root@wl:~# dladm show-linkprop LINK PROPERTY PERM VALUE EFFECTIVE DEFAULT POSSIBLE net0 speed r- 1000 1000 1000 -- net0 autopush rw -- -- -- -- net0 zone rw -- -- -- -- net0 duplex r- full full full half,full net0 state r- up up up up,down net0 auto-negotiation rw 1 1 1 1,0 net0 mtu rw 1500 1500 1500 1500-16362 net0 flow-control rw no no bi no,tx,rx,bi, pfc,auto net0 firmware-version r- 000000-000 NVM_0 000000-000 NVM_0 -- -- net0 speed-duplex rw 1g-f,100m-f, 1g-f,100m-f, 100m-f, 1g-f,100m-f, 100m-h, 100m-h, 100m-h, 100m-h,10m-f, 10m-f,10m-h 10m-f,10m-h 10m-f, 10m-h 10m-h ... net0 authentication-state r- -- -- off succeeded, failed, in-progress, off root@wl:~# dladm show-linkprop -p mtu net0 LINK PROPERTY PERM VALUE EFFECTIVE DEFAULT POSSIBLE net0 mtu rw 1500 1500 1500 1500-16362
링크 구성을 확인했으면, 링크에 구성된 IP를 확인할 차례다. ipadm(8)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물론 IP확인은 고전적인 ifconfig(8)명령을 사용해서도 할 수 있다)
windy@wl:~$ ipadm NAME CLASS/TYPE STATE UNDER ADDR lo0 loopback ok -- -- lo0/v4 static ok -- 127.0.0.1/8 lo0/v6 static ok -- ::1/128 net0 ip ok -- -- net0/v4 dhcp ok -- 10.0.2.15/24 net0/v6 addrconf ok -- fe80::a00:27ff:feb4:4aaa/10
net0
장치에 대해 net0/v4
주소객체와 net0/v6
주소객체가 생성되어있으며, net0/v4
항목을 보면 DHCP 를 통해서 구성되었고, 현재 주소는 10.0.2.15
, 넷마스크는 /24
(255.255.255.0) 임을 알 수 있다.
주소만 보려면 ipadm show-addr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ipadm show-addr ADDROBJ TYPE STATE ADDR lo0/v4 static ok 127.0.0.1/8 net0/v4 dhcp ok 10.0.2.15/24 lo0/v6 static ok ::1/128 net0/v6 addrconf ok fe80::a00:27ff:feb4:4aaa/10
시스템에 NIC를 신규로 추가했다면, IP 주소장치 및 IP가 없는 상태이다. 링크에 IP 주소 장치 및 IP 주소를 추가하려면 ipadm create-ip
및 ipadm create-addr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dladm LINK CLASS MTU STATE OVER net0 phys 1500 up -- net1 phys 1500 up -- windy@wl ~ $ sudo ipadm NAME CLASS/TYPE STATE UNDER ADDR lo0 loopback ok -- -- lo0/v4 static ok -- 127.0.0.1/8 lo0/v6 static ok -- ::1/128 net0 ip ok -- -- net0/v4 static ok -- 192.168.0.9/24 net0/v6 addrconf ok -- fe80::225:22ff:fe3e:d2ce/10 windy@wl ~ $ sudo ipadm create-ip net1 1) windy@wl ~ $ sudo ipadm create-addr -a 10.0.2.16/24 net1/addr 2) windy@wl ~ $ ipadm lo0 loopback ok -- -- lo0/v4 static ok -- 127.0.0.1/8 lo0/v6 static ok -- ::1/128 net0 ip ok -- -- net0/v4 static ok -- 192.168.0.9/24 net0/v6 addrconf ok -- fe80::225:22ff:fe3e:d2ce/10 net1 ip failed -- -- net1/v4 static inaccessible -- 192.168.0.8/241) net1 링크에 IP 주소 장치를 추가한다.
192.168.0.8/24
주소를 가진 net1/v4
주소객체를 추가한다.DHCP를 사용해 IP를 가져오는 장치를 추가하려면 ipadm create-addr -T dhcp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sudo ipadm create-addr -T dhcp net0/addrdhcp 1) windy@wl ~ $ ipadm show-addr ADDROBJ TYPE STATE ADDR lo0/v4 static ok 127.0.0.1/8 net0/v4 dhcp ok 10.0.2.15/24 net0/addr static ok 10.0.2.16/24 net0/addrdhcp dhcp ok 10.0.2.5/24 2) lo0/v6 static ok ::1/128 net0/v6 addrconf ok fe80::a00:27ff:feb4:4aaa/101) DHCP 로 설정할
net0/addrdhcp
주소객체를 생성한다.10.0.2.5/24
주소가 할당되었다.자동생성된 IPv6 주소를 할당하려면 ipadm create-addr -T addrconf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sudo ipadm create-addr -T addrconf net0/addr 1)
1) 이미 추가되어있다.특정 IP에 대해 넷마스트를 수정하려면 ipadm set-addrprop -p prefixlen=xx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sudo ipadm set-addrprop -p prefixlen=25 net0/addr windy@wl ~ $ ipadm show-addr ADDROBJ TYPE STATE ADDR lo0/v4 static ok 127.0.0.1/8 net0/v4 dhcp ok 10.0.2.15/24 net0/addr static ok 10.0.2.16/25 net0/addrdhcp dhcp ok 10.0.2.5/24 lo0/v6 static ok ::1/128 net0/v6 addrconf ok fe80::a00:27ff:feb4:4aaa/10
할당한 IP를 삭제하려면 ipadm delete-addr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sudo ipadm delete-addr net0/addrdhcp windy@wl ~ $ sudo ipadm delete-addr net0/addr
라우팅 구성 정보를 보려면 netstat -nr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netstat -nr Routing Table: IPv4 Destination Gateway Flags Ref Use Interface -------------------- -------------------- ----- ----- ---------- --------- default 10.0.2.1 UG 3 172 net0 10.0.2.0 10.0.2.15 U 4 2 net0 127.0.0.1 127.0.0.1 UH 2 564 lo0 Routing Table: IPv6 Destination/Mask Gateway Flags Ref Use If --------------------------- --------------------------- ----- --- ------- ----- ::1 ::1 UH 2 14 lo0 fe80::/10 fe80::a00:27ff:feb4:4aaa U 2 0 net0
기본 라우팅 경로를 변경하려면 route -p add default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sudo route -p add default 10.0.2.2/24
정적 라우팅 경로를 추가하려면 route -p add
명령을 사용한다.
windy@wl ~ $ sudo route -p add -net 10.0.3.15/24 -gateway 10.0.3.1/24
DNS 설정을 변경하려면 아래와 같이 한다.
windy@wl ~ $ sudo svccfg -s network/dns/client svc:/network/dns/client> setprop config/search = astring: ("solanara.net" "l.solanara.net" ) svc:/network/dns/client> setprop config/nameserver = net_address: ( 168.126.63.1 168.126.63.2 ) svc:/network/dns/client> select network/dns/client:default svc:/network/dns/client:default> refresh svc:/network/dns/client:default> validate svc:/network/dns/client:default> quit windy@wl ~ $ sudo svccfg -s system/name-service/switch svc:/system/name-service/switch> setprop config/host = astring: "files dns" svc:/system/name-service/switch> select system/name-service/switch:default svc:/system/name-service/switch:default> refresh svc:/system/name-service/switch:default> validate svc:/system/name-service/switch:default> quit windy@wl ~ $ sudo nscfg export svc:/network/dns/client:default windy@wl ~ $ sudo svcadm enable network/dns/client windy@wl ~ $ sudo svcadm refresh system/name-service/switch위와 같이 설정하면 아래 두 파일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ndy@wl ~ $ grep host /etc/nsswitch.conf windy@wl ~ $ cat /etc/resolv.conf
솔라리스에서 실행되는 많은 응용들은 호스트 이름에 해당하는 IP가 /etc/hosts
에 등록되어있어야 한다.
windy@wl ~ $ hostname wl windy@wl ~ $ cat /etc/hosts | grep `hostname` 10.0.2.15 wl windy@wl ~ $ ping `hostname` wl is alive
root@wl:~# sysconfig unconfigure system
root@wl:~# sysconfig configure system
non-production use license다. 상업적으로 사용시 유의하자.
root@wl:~# pkg update --accept .... 다운로드 패키지 파일 XFER(MB) 속도 완료됨 814/814 60463/60463 1974/1974 408k/s 단계 항목 이전 작업 제거 33383/33383 새 작업 설치 45094/45094 수정된 작업 업데이트 45597/45597 패키지 상태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완료 패키지 캐시 업데이트 684/684 이미지 상태 업데이트 완료 빠른 조회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완료 패키지 캐시 업데이트 2/2 solaris의 복제본이 존재하며 업데이트 및 활성화되었습니다. 다음 번 부트 시 부트 환경 be://rpool/solaris-1이(가) '/'에 마운트됩니다. 이 업데이트된 BE로 전환할 준비가 완료되면 재부트하십시오. root@wl:~# sync; reboot다시 접속해보면 아래와 같이 변경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root@wl:~# uname -a SunOS wl 5.11 11.4.42.111.0 i86pc i386 i86pc non-virtualized root@wl:~# cat /etc/os-release ... BUILD_ID=11.4.42.0.0.111.0 ...
보안정책에 따르면 된다. 솔라나라는 그런 정책이 없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하드닝을 적용하지 않는다. 윈디하나의 솔라나라: 솔라리스 하드닝 (작성중)문서도 참고해볼 수 있다. 솔라리스 하드닝이 필요하다면 Oracle® Solaris 11.4 Security and Hardening Guidelines를 읽어보자. (Security and Hardening Guidelines 에 있는 내용을 다 적용하려면 전문적인 솔라리스 엔지니어가 필요할 듯 하지만 말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 - 자료실 - 기술안내서 가이드, KISA 인터넷 보호나라 & KrCERT - 자료실 - 가이드 및 매뉴얼도 참고하자.
~/.profile
과 ~/.bashrc
에 기본적인 설정이 있다. 여기서는 기존의 솔라나라 방식 그대로(/etc/profile
, ~/.bashrc
에 설정) 사용한다.
windy@wl:~$ rm ~/.profile windy@wl:~$ rm ~/.bashrc windy@wl:~$ vi ~/.profile if [ -f /usr/bin/less ]; then export PAGER="/usr/bin/less -ins" elif [ -f /usr/bin/more ]; then export PAGER="/usr/bin/more -s" fi tty -s && stty cs8 -istrip defeucw if [ "$TERM" = "dumb" ] || [ "$TERM" = "dumb-" ]; then LANG=C; export LANG; fi case ${SHELL} in *bash) typeset +x PS1="\u@\h \w \\$ " if [ "$0" == "-bash" ]; then if [ -f ~/.bashrc ]; then . ~/.bashrc else export HISTCONTROL=erasedups alias ll="/usr/bin/ls -alhF" alias pp="/usr/bin/ps -eo 'user,pid,ppid,nlwp,time,comm,s,project,zone,class,pri,rss,pmem'" fi fi ;; esac export PS1 EDITOR=vi; export EDITOR CC=cc; export CC CXX=CC; export CXX PATH=/usr/local/ssl/bin:/usr/local/bin:/usr/bin:/usr/sbin:/opt/developerstudio12.6/bin; export PATH LD_LIBRARY_PATH=/usr/local/ssl/lib:/usr/local/lib:/usr/lib; export LD_LIBRARY_PATH MANPATH=/usr/man:/usr/local/share/man; export MANPATH windy@wl:~$ vi ~/.bashrc export HISTCONTROL=erasedups alias ll="/usr/bin/ls -alhF" alias pp="/usr/bin/ps -eo 'user,pid,ppid,nlwp,time,comm,s,project,zone,class,pri,rss,pmem'" windy@wl:~$ sudo cp .bashrc /etc/skel/ Password:[windy계정의패스워드] windy@wl:~$ sudo cp .profile /etc/skel/
/usr/gnu
디렉토리의 바이너리들은 필요한 것만 /usr/local/bin
에 링크시켜 사용할 것이다.
root@wl:~# svcadm enable sar
root@wl:~# crontab -e sys 1)
0 * * * 0-6 /usr/lib/sa/sa1
20,40 8-17 * * 1-5 /usr/lib/sa/sa1
5 18 * * 1-5 /usr/lib/sa/sa2 -s 8:00 -e 18:01 -i 1200 -A
1) 주석만 풀어주면 되며 crontab의 기본 에디터는 vi로 되어있다.root@wl:~# nlsadm get-timezone 1) timezone=Asia/Seoul root@wl:~# vi /etc/inet/ntp.conf 2) server ntp1.sjtel.net server ntp2.sjtel.net root@wl:~# svcadm enable ntp1) 타임존을 확인한다. 잘못되어있다면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 svccfg -s timezone:default setprop timezone/localtime = astring: Asia/Seoul # svcadm refresh timezone:default # date OOOO년 OO월 OO일 월요일 오전 O0시 0O분 OO초 KST2) ntp1.sjtel.net(ntp1.epidc.co.kr) 의 NTP서버를 사용했다. 보통 ISP나 IDC에는 자체적으로 NTP서버를 운영하기 때문에, 담당자에게 문의해 그걸 사용하는게 더 정확하게 시간을 세팅할 수 있다.
root@wl:~# dispadmin -d FSS
root@wl:~# svccfg -s "system/boot-config:default" setprop config/fastreboot_default=false root@wl:~# svcadm refresh svc:/system/boot-config:default
reboot -p
명령으로 (설정에 관계없이) 표준적인 재시작을 사용할 수 있다.
root@wl:~# vi /etc/wgetrc content_disposition = on 1) check_certificate = off 2)1) wget(1)에서 받는 파일 이름을 content_disposition HTTP 헤더에서도 알아오게 하는 기능이다. 표준 규격은 아니지만, 널리 통용된다. 이 옵션을 켜지 않으면 index.html 로 다운로드 하는 프로그램이 많아진다.
--no-check-certificate
옵션을 준 것과 동일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범용 루트 CA 인증서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사용해 검사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윈디하나의 솔라나라: OpenSSL - CA 번들 인증서에 설정하는 방법이 나와있다.
root@wl:~# cd /usr/local/bin root@wl:/usr/local/bin# ln -s /usr/bin/gmake make root@wl:/usr/local/bin# ln -s /usr/perl5/5.12/bin/pod2man . root@wl:/usr/local/bin# ln -s /usr/perl5/5.12/bin/pod2html .
root@wl:~# pkg change-facet facet.version-lock.consolidation/sunpro/sunpro-incorporation=false ... root@wl:~# pkg update sunpro-incorporation ... root@wl:~# pkg install developer-studio-utilities ... root@wl:~# pkg set-publisher \ -k ~/pkg.oracle.com.key.pem \ -c ~/pkg.oracle.com.certificate.pem \ -G '*' -g https://pkg.oracle.com/solarisstudio/release solarisstudio root@wl:~# pkg publisher solarisstudio 게시자: solarisstudio ... root@wl:~# pkg install --accept developerstudio-126 Packages to install: 26 Create boot environment: No Create backup boot environment: No DOWNLOAD PKGS FILES XFER (MB) SPEED Completed 26/26 11057/11057 504.8/504.8 866k/s PHASE ITEMS Installing new actions 19313/19313 Updating package state database Done Updating package cache 0/0 Updating image state Done Creating fast lookup database Done Updating package cache 2/2 root@wl:~# /opt/developerstudio12.6/bin/cc -V cc: Studio 12.6 Sun C 5.15 SunOS_i386 2017/05/30
root@wl:~# pkg set-publisher -G '*' -g http://pkg.oracle.com/solaris/release/ solaris root@wl:~# pkg install gcc 설치할 패키지: 17 변경할 조정자: 2 변경할 서비스: 1 부트 환경 만들기: 아니오 백업 부트 환경 만들기: 아니오 다운로드 패키지 파일 XFER(MB) 속도 완료됨 17/17 2136/2136 763.6/763.6 3.3M/s 단계 항목 새 작업 설치 2640/2640 패키지 상태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완료 패키지 캐시 업데이트 0/0 이미지 상태 업데이트 완료 빠른 조회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완료 패키지 캐시 업데이트 1/1 root@wl:~# gcc -v Using built-in specs. COLLECT_GCC=gcc COLLECT_LTO_WRAPPER=/usr/gcc/11/lib/gcc/x86_64-pc-solaris2.11/11.2.0/lto-wrapper Target: x86_64-pc-solaris2.11 Configured with: /builds/ulhg/mrcarson-trunk_111/components/gcc11/gcc-11.2.0/configure --prefix=/usr/gcc/11 --mandir=/usr/gcc/11/share/man --bindir=/usr/gcc/11/bin --sbindir=/usr/gcc/11/sbin --libdir=/usr/gcc/11/lib --infodir=/usr/gcc/11/share/info --libexecdir=/usr/gcc/11/lib --enable-languages=ada,c,c++,fortran,go,objc --enable-shared --enable-initfini-array --disable-rpath --with-system-zlib --with-build-config=no --without-gnu-ld --with-ld=/usr/bin/ld --with-gnu-as --with-as=/usr/gnu/bin/as --disable-bootstrap 'BOOT_CFLAGS=-g -O2' x86_64-pc-solaris2.11 Thread model: posix Supported LTO compression algorithms: zlib gcc version 11.2.0 (GCC) 1) root@wl:~# vi ~/.profile 2) ... CC=gcc; export CC CXX=g++; export CXX ...1) Solaris 11.4 의 경우 GCC 5.5, 7.3 를 제공해준다. 버전을 지정하지 않으면 GCC 7.3.0이 설치된다. 솔라리스 11.4.42 에서는 7.5, 9.4, 10.3, 11.2 가 제공되는데, 버전을 지정하지 않으면 GCC 11.2가 설치된다.
솔라리스에서는 각종 스탯 툴이 제공되지만, 스탯을 저장하고 그래픽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았는데, 솔라리스 11.4 부터 이런 툴이 번들되어있다. StatsStore 와 WebUI 가 그것이다.
이 툴들은 솔라리스 11.4 를 설치하면 기본으로 설치되며, 기본으로 활성화 된다.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징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보여줄 수도 있는 유용한 툴이다.
Using Oracle® Solaris 11.4 StatsStore and System Web Interface
스탯을 저장하는 툴이다. 기본적으로 kstat 에 있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으며, sstore(8)을 사용해 이를 제어할 수 있다. 특별히 설정할 것은 없다. 스탯을 CLI에서 볼 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svc:/system/sstore:default
서비스로 등록되어있다.
StatsStore 에 의해 저장된 스탯을 WebUI 를 사용해 볼 수 있다. 솔라리스 11.4 설치시 webui-server
패키지가 설치되며, svc:/system/webui/server:default
서비스가 온라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브라우저를 열고 접속하면 된다.
http://localhost:6787/
에 접속해 시스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대시보드에 진입할 수 있다.
그래프를 클릭하면 각종 분석 시트를 확인해볼 수 있다. 아래에 샘플 화면이 있다.
RSS ATOM XHTML 5 CSS3 |
Copyright © 2004-2025 Jo HoSeok. All rights reserved. |